The Economist 2025년 3월 1일호
Article: Meet Trump’s fiercest opponent: the bond market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경제를 자신의 손 안에 넣고 조종할 수 있다고 믿는 남자다. 대통령으로 복귀한 후, 그는 연방준비제도(Fed)를 흔들어 금리를 낮추려 하겠지만 정작 그가 상대해야 할 진짜 적은 따로 있다. 바로 채권 시장이다. 아무리 트럼프가 시장을 움직이는 힘을 갖고 있다 해도, 투자자들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의 계획은 공중으로 날아갈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10년물 미 국채 금리를 끌어내리고 싶어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장기 채권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과 개인이 돈을 빌리기 쉬워지고, 이는 경제를 부양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 금리는 단순히 연준(Fed)의 기준금리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기대치, 정부의 재정정책 등이 장기 금리를 결정짓는 요소들이다. 트럼프가 "규제 완화와 에너지 정책 개선으로 장기 금리를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제한적인 효과밖에 없을 것이다.
트럼프의 또 다른 문제는 그의 재정정책이 오히려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는 감세 정책을 확장하려 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부채를 급격히 증가시킬 가능성이 크다. 채권 투자자들은 정부의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면 장기 금리를 더 높게 요구한다. 즉, 트럼프의 감세가 오히려 금리 상승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복귀한 후 10년물 국채 금리는 빠르게 4.8%까지 상승했다. 이는 시장이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재정 적자를 더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는 감세 규모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공화당 지도부가 내놓은 감세 법안은 원래 계획했던 10년간 11조 달러 규모에서 4.5조 달러로 줄어들었다. 이는 채권 시장이 정책 결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또한 트럼프의 경제팀은 시장을 달래기 위해 다른 대안을 내놓고 있다. 예를 들어, 트럼프 행정부는 초장기 국채(100년물 채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를 사실상 부채 구조조정과 다름없다고 보고 있으며, 만약 강제로 이를 추진하려 한다면 채권 시장은 즉각적인 반발로 응답할 것이다. 미국 채권의 신뢰성이 손상될 경우, 국채 금리는 오히려 급등할 것이고 이는 경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