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경제 붕괴의 진짜 원인: 제재가 전부가 아니다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거리에서 현금을 인출하려 줄 선 사람들

The Economist 2025년 3월 8일호

Article: Syria’s economy, still strangled by sanctions, is on its knees

시리아 경제는 서방 제재가 시작되기 전부터 몰락하고 있었다. 이를 이해하려면 2011년 전후 시리아 경제 구조를 먼저 봐야 한다. 경제의 30%가 석유에 의존하고 있었고 단일 산업 경제는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바샤르 알-아사드의 중앙집권 경제 모델은 비효율적이었으며 관료주의와 부패가 만연했다. 경제성장률은 2000년대 중반부터 둔화되었고, 2010년 기준 실업률은 공식적으로 8%였으나, 비공식적으로는 30% 이상으로 추정됐다. 즉, 내전이 시작되기 전부터 시리아 경제는 이미 위기 상태였다.

2011년 내전 발발 이후 시리아 경제는 자유낙하를 시작했다. 전쟁으로 인해 산업 기반이 파괴되었고 GDP는 2010년 대비 85% 감소했다. 2021년 시리아의 연간 수출액은 18억 달러로, 전쟁 이전 180억 달러 수준의 10%에 불과했다. 2010년 185억 달러였던 외환보유고는 현재 2억 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 특히 시리아 파운드(SYP)의 폭락은 경제 붕괴의 상징이다. 2011년 1달러당 50SYP였던 환율이 현재 11,000SYP까지 상승했다. 시장에서의 현금 부족 현상은 더욱 심각하며, 기업과 개인이 은행 계좌에 돈이 있어도 인출이 불가능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경제 위기가 아니라, 금융 시스템 자체가 무너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재가 없었다면 시리아 경제가 살아남았을까? 서방의 제재는 시리아 경제에 타격을 준 것이 맞다. 특히 미국의 '카이사르 법(Caesar Act)'은 시리아 정부뿐만 아니라 시리아와 거래하는 외국 기업에도 제재를 가하는 '세컨더리 보이콧' 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외국 기업들이 시리아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막았다. 그러나 제재가 주된 원인이라기보다는 시리아 정부의 구조적인 문제와 전쟁이 핵심적인 붕괴 요인이었다. 이란과 러시아가 경제적으로 지원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시리아 경제가 회복되지 않는 이유는 근본적인 경제 시스템 자체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아흐메드 알샤라아 정부는 경제 자유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는 외환 사용 금지를 해제하고, 관세 체계를 단순화했으며, 관료제를 개혁하고 있다. 또한 석유 생산과 농업을 회복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제재가 유지되는 한 이러한 노력은 효과를 보기 어렵다. 현재 시리아의 석유 생산량은 전쟁 전 40만 배럴에서 5만 배럴로 급감했다. 주요 유전은 쿠르드족이 장악한 동부 지역에 있으며, 서방의 제재로 인해 서방 기업들이 석유 개발에 참여할 수 없는 상태다. 시리아 정부가 석유 생산을 늘리기 위해 러시아, 중국과 협력하려 해도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차단된 상태에서는 현실적으로...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