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 2025년 3월 29일호
Article: Why India’s south is fighting plans to overhaul parliament
빌어먹을, 또 시작이다. 델리 놈들의 그 지긋지긋한 중앙집권적 망상이. 이번엔 의회 의석 재분배, '델리미테이션(delimitation)'이라는 거창한 이름표를 달고 나왔군. 이코노미스트 기사를 읽다 말고 실소가 터졌다. 스탈린(M.K. Stalin), 그 노회한 투사가 전면에 나섰다지. 애송이 시절부터 힌디어 강요에 맞서고, 인디라 간디 시절엔 감옥까지 다녀온 뼈대 있는 반골 아닌가. 손에 남은 흉터 이야기는 제법 극적이군. 그래, 그 양반이 지금 남부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모디(Narendra Modi)의 야욕에 맞서고 있다. 뻔한 수 싸움이지만 판돈이 너무 커졌다.
모디 정부의 논리는 단순하다. 1971년 인구 기준으로 묶여있는 543석의 로크 사바(하원)를 2026년 인구조사 후 현실에 맞게 재조정하겠다는 것. 인구가 폭증한 북부에 더 많은 의석을 줘야 '민주적'이란다. 개가 웃을 소리다. 이건 민주주의 탈을 쓴, 노골적인 남부 죽이기다. 성공적인 가족계획으로 인구 증가를 억제하고, 경제 발전을 이끌어온 남부 주들에 대한 명백한 '역차별'이자 '징벌'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당연히 북부를 장악한 모디의 BJP(인도국민당)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지. 스탈린의 말처럼 "남부 주들의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희석시켜 영구적인 정치적 불균형을 초래"하려는 수작이다. 이런 불합리에 어떻게 수동적인 방관자로 남을 수 있겠는가? 나 역시 마찬가지다. 내 자유를 억압하고, 나의 성취를 깎아내리려는 어떤 시도도 용납할 수 없다.
스탈린이 남부 3개 주(카르나타카, 케랄라, 텔랑가나)와 심지어 북부지만 비슷한 처지의 펀자브까지 끌어들여 '공동 행동 위원회'를 만들었다는 건 흥미롭다. 안드라 프라데시만 BJP 연정에 발을 담그고 빠졌다지. 예상했던 그림이다. 이들은 의석 재분배를 또다시 25년 연기하라고 요구한다. 1976년과 2001년에도 그랬던 것처럼. 현상 유지가 최선은 아니지만, 최악은 피하려는 절박함이 읽힌다. 아밋 샤(Amit Shah) 내무장관이 타밀나두까지 내려와 "비례 배분 원칙(pro rata basis)에 따라 남부 주들이 단 한 석도 잃지 않을 것"이라며 달래려 했다는 대목에선 헛웃음이 나왔다. 그 "공정한 몫"이란 게 구체적으로 뭔데? 스탈린의 지적처럼, 그런 애매모호한 발언을 대중 집회에서 흘릴 게 아니라 정식으로 의회에 제출해야지. 2016년 화폐개혁이나 2019년 잠무 카슈미르 자치권 박탈 때처럼 주 정부와 상의 없이 밀어붙이던 그들의 전적을 보면 누구라도 의심할 수밖에 없다. 신뢰는 이미 바닥이다.
이 논쟁은 단순한 의석 수를 넘어 인도 사회의 깊은 균열을 건드린다. 북부와 남부의 정치, 경제, 문화적 격차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모디 집권 이후 노골적인 힌두 민족주의와 남부의 경제·사회적 앞서감 때문에 더욱 벌어졌다. 남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낸 세금이 제대로 된 관리 능력도 보여주지 못하는 북부 주들을 먹여 살리는 데 쓰인다며 불만을 터뜨린다. 일리가 있다. 성과에는 보상이 따라야 하고, 무능에는 책임이 따라야 하는 법이다. 그게 세상의 이치 아닌가. 그런데 지금 인도는 거꾸로 가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