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인문학, 왜 하면 할수록 가난해지는가? 현실을 보라

햇볕 아래 금이 간 조각상과 찢어진 예술 포스터

글 읽기 : 신정아 - 4001

신정아 책은 상당히 솔직하게 적혀있고, 그중에는 자신이 큐레이터로 일한 경험이 있다. 우리는 그녀의 경험을 통해 예술을 직업으로 삼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아니 어쩌면 어리석은 일인지 알 수 있다. 이는 예술뿐만 아니라 인문학도 마찬가지다.

예술과 인문학을 왜 직업으로 삼으면 안 되는가? 답은 간단하다. 돈이 안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더 큰 문제가 나온다. 인문학이나 예술을 직업으로 삼으면 돈이 없다는 열등감을 감추기 위해 자기기만을 하게 될 확률이 높다. 즉, “나는 돈은 없지만 돈보다 더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사고방식을 갖게 되는 거다. 이 때문에 인문학과 예술을 직업으로 삼는 이들은 돈을 더 못 벌게 된다. 돈을 혐오하는데 어떻게 돈을 벌 수 있겠는가? 이것이 인문학과 예술의 함정이다.

오해는 말자. 나는 인문학과 예술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 단지 인문학과 예술을 직업으로 삼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걸 말할 뿐이다. 여기서 조금만 더 깊게 가보자. 왜 인문학과 예술을 전공하는 이들은 세속적 성공과 점점 더 멀어지는가? 생각해 보라. 그 누구도 가난해지기 위해 인문학과 예술을 전공하거나 직업으로 삼지 않는다. 이들은 자신이 앤디 워홀이나 비트겐슈타인이 될 거라 생각하고 인문학과 예술의 바다에 빠진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이들의 예상은 빗나가고 통장은 얇아지며 자신의 높은 철학적 식견과 예술 작품을 인정해 주지 않는 세계를 원망하게 된다.

왜 그런가? 이는 예술과 인문학의 본질적 속성에서 기인한다. 예술과 인문학은 ‘당위’를 다룬다. 즉, 이들은 눈앞에 있는 세계를 그대로 보지 않고 판단하며, 저기 어딘가에 ‘더 나은 세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예술과 인문학은...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