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미술 이해를 위한 첫걸음

이집트인들은 권위에 짓눌려 있었다.

그림 보기 : 작자 미상 - 나르메르 팔레트

1. 이성과 입체

보라! 나는 그림에 있어 입체가 인간 지성의 소산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한다. 인간 눈은 입체를 볼 수 없다. 입체는 눈으로 포착한 평면을 인간이 지성이 종합하여 만든 것이다. 인간은 세계를 세계 밖에서 관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자기가 무언가를 제3자의 입장에서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 이 끊임없는 편견이여! 결코 사라지지 않는 마귀여! 인간은 결코 이 허황된 믿음을 버리지 못할 것인가?

모든 인간은 플라톤주의자로 태어난다는 말이 바로 이것이다. 인간은 이성으로 세계를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그림을 입체로 만드는 이유다. 이런 이성의 능력을 부정한 미술이 무엇인가? 세계를 밖에서 관찰할 수 있다는 믿음에 대해 “아니야. 인간도 세계의 일부야. 세계의 일부로 존재하는 인간이 어떻게 세계 전체를 조망할 수 있어?”라고 말한 미술이 무엇인가?

그대여! 그대는 내 말을 몇 번이나 듣지 않았는가? 대답하라! 무엇인가? 그래! 인상주의다. 인상주의는 인간이 세계를 밖에서 관찰할 수 있다는 주장을 거부한다. 인간 역시 세계의 일부로 존재할 뿐이다! 그래서 인상주의 그림은 평면이고 선이 없는 것이다. 선은 무언가를 구분하기 위해 존재한다. 인상주의는 선을 버리고 세계에 자신을 녹여버린다.

자, 이제 당신은 인간 이성이 미술에 있어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했다. 그렇다면 이집트 미술로 가보자. 이집트 미술은 도대체 왜 위 그림과 같은 양식을 가지고 있는가?

 

2. 이집트 미술의 근본적 이해

보라! 이집트 미술은 평면이다. 이는 이집트인들이 인간 지성이 세계의 근원을 포착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걸 의미한다. 이집트에서는 파라오의 권위가 너무나도 강했다. 이집트인들은 자기 스스로가 삶을 개척할 수 있으며 파라오의 힘 없이도 이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들은 권위에 짓눌려 이성을 발휘할 수 없었다!

이런 삶의 태도는 중세에도 똑같이 나타난다. 당신은 분명 이집트 미술과 중세 미술이 닮은 점이 있다고 느낀다. 이는 눈만 가지고 있으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물어야 한다. 도대체 왜 중세 미술과 이집트 미술은 이토록 비슷한 양식을 가지고 있을까? 바로 앞에서 내가 말한 것과 같다. 인간 이성이 억눌려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집트 미술은 감상자를 의식한다. 여기서 감상자는 이집트의 지배계급이다. 이집트 미술은...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