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이 바로 우리의 세계다

현대판 스토아주의를 알아본다.

그림 보기 : 몬드리안 - 빨강, 검정, 파랑, 노랑, 회색의 구성

우리 시대에 의미란 말할 수 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각 시대는 각 시대만의 합의가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이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는 사람을 보면 매우 역겹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 사람은 그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했다고 말하면 됩니다. 의미 부여는 단테가 살던 시대에나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카프카에게서 무엇을 볼 수 있나요? 카프카는 알고 있습니다. 기존에 말하던 의미가 다 거짓이었음을. 하지만 동시에 그는 새로운 의미를 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우울하지만 동시에 희망적입니다. 절망 속에서 그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를 나갈 방법이 있을 거라고.

이것이 카프카가 실존주의 문학의 시작이라고 보는 이유입니다. 실존주의가 무엇인가요? 나의 현재 상태가 설명될 수 없는 동시에 현재 말고 다른 삶은 없다는 게 실존주의입니다. 인간은 말합니다. “내가 왜 장애인으로 태어났을까? 그냥 그런 거야. 이유는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어. 중요한 건 장애인으로 내가 살아야 한다는 것뿐이야.“ 본질은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습니다. 중요한 건 실존입니다.

세계와 삶은 설명될 수 없습니다. 단지 그럴 뿐입니다. 이게 나쁜 걸까요? 어느 시대나...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