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 2025년 5월 10일호
Article: OpenAI’s flip-flop will not get Elon Musk off its back
인공지능(AI)이라는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시대, 그 선두에 선 OpenAI의 행보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인류의 미래와 직결된 철학적 질문까지 던지고 있다. 최근 OpenAI가 야심 차게 추진하던 완전한 영리 회사로의 전환 계획을 돌연 철회한 사건은 오랜 기간 OpenAI의 정체성을 두고 날 선 비판을 이어온 일론 머스크에게 일견 통쾌한 승리로 비쳤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 극적인 U턴은 머스크의 공세를 잠재우기는커녕, 오히려 샘 알트먼 CEO와 OpenAI를 더욱 복잡한 딜레마와 외부의 끊임없는 감시라는 덫으로 밀어 넣고 있는 형국이다. 과연 OpenAI의 '영리'와 '비영리' 사이의 줄타기는 무엇을 의미하며, 머스크의 집요한 반대는 어떤 논리에 기반하는가. 그리고 이번 계획 변경은 OpenAI의 미래에 어떤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가.
OpenAI가 영리 법인이 되느냐, 아니면 비영리적 성격을 유지하느냐의 문제는 그저 법적 형태의 변화를 넘어선 본질적인 차이를 내포한다. 전통적으로 비영리 법인은 '인류 전체에 이익이 되는 인공일반지능(AGI) 개발 및 보급'과 같은 공익적 사명을 최우선 목표로 삼으며, 발생한 수익은 배당이 아닌 목적 달성을 위한 재투자에 사용된다. 이사회 역시 이러한 공익적 사명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며, 외부 주주의 단기적 이익 극대화 압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반면, 영리 법인의 존재 이유는 주주 이익의 극대화이다. 모든 의사결정은 기업 가치 증대와 수익 창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때로 공익적 가치와 충돌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OpenAI는 2015년 비영리 연구소로 출발했으나, AI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 조달의 현실적 벽에 부딪히면서 2019년 '수익 상한이 있는 영리 자회사(capped-profit subsidiary)'인 OpenAI LP를 설립하는 독특한 혼합 구조를 채택했다. 이 구조는 투자자에게 투자금의 일정 배수까지만 수익을 배분하고, 그 초과분은 다시 비영리 모회사로 귀속시켜 공익적 목표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논란의 핵심은 바로 이 지점이다. 과연 AGI와 같이 인류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강력한 기술 개발이, '인류 전체의 이익'이라는 숭고한 이상과 '주주 이익'이라는 현실적 욕망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겠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이다. 완전한 영리 회사로의 전환은 이익 추구의 유혹 앞에서 안전성과 공익성이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는 심각한 우려를 낳았고, 이것이 머스크를 비롯한 비판론자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주된 이유였다.
일론 머스크가 OpenAI의 영리화를 막기 위해 "비영리 법인 자산에 대한 970억 달러 규모의 인수 제안"을 감행했던 것은 이러한 우려의 극단적인 표현이었다. 그의 제안은 OpenAI의 핵심 기술과 연구 인력 등 비영리 모회사가 통제하는 핵심 자산을 자신이 인수함으로써 이 자산들이 순수하게 상업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영리 회사로 넘어가는 것을 막거나, 혹은 자신이 직접 통제하여 OpenAI의 창립 이념이었던 개방적이고 공익적인 방식으로 운영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된다. 비록 이 파격적인 제안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OpenAI의 영리화 시도에 대한 그의 깊은 불신과 저항 의지를 전 세계에 각인시키는 데는 충분했다. 그의 주장은 시종일관 OpenAI가 '인류를 위한 안전한 AGI 개발'이라는 초심을 버리고, 소수 투자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