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피터슨과 앤드류 테이트

조던 피터슨은 패배자를 위한 안식처다.

철학적 분석 : 우리는 어디에도 도달할 수 없다

문학적 표현을 하자면 앤드류 테이트와 조던 피터슨은 사회적 패배자를 위한 안식처입니다. 이분들은 신을 말하고 의미를 말합니다. 하지만 현대는 의미를 ‘말할 수 없는 것’으로 취급합니다. 현대는 의미를 상실했습니다. 우리는 무의미 속에서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많은 분이 이런 의미 상실을 견딜 수 없어 합니다. 그들은 무언가에 의지하고 싶어 합니다. 이때 저 두 분이 나와 전통적 가치가 해체되고 의미가 상실된 현대 사회를 비판해 줍니다. 사회적 패배자들은 저 말에 위안을 얻습니다. “그래. 내 실패는 내 잘못이 아니구나. 세상이 이상한 거구나.”라고 생각하며 자기 위로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이들은 자기 잘못을 사회에 돌림으로써 자기 마음속에 내제되어 있는 불만을 폭력적으로 표출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자기 실패로부터 도망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시대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이는 우리가 부모를 선택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저 두 분이 르네상스 시대나 중세 시대에 저런 말을 했다면 우리는 그들의 말을 귀담아들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그 시대에 살고 있지 않습니다. 각 시대는 각 시대만의 세계관이 있습니다. 우리는 신이 죽고 과학이 죽은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어떤 의미도 말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즉, 우리는 실존주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언제나 자신의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은 소수였습니다. 많은 이들이 구시대적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옛날은 황금의 시대였지만 지금은 돌의 시대다.”라는 말은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할 때부터 있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 우리는 과거를 회상하며 살고자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지금을 살고자 합니다. 우리는 현재를 살고자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합니다. 그 어떤 위로의 말도 거부하고 스스로 일어나야 합니다. 그 어떤 의미도 거부하고 무의미 속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는 앤드류 테이트와 조던 피터슨이 말하는 세계에 살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카뮈의 소설이 말하는 세계 속에 살고 있습니다.

그 어디에도 우리를 바쳐줄 단단한 토대는 없습니다. 매 순간 발을 끊임없이 움직임으로서 우리는 떨어지지 않고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죽는 그 순간까지 스스로를 갱신하십시오. 그 어디에도 도달은 없습니다. 우리는 죽는 줄도 모르고 죽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느라 너무 바쁘기 때문입니다.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