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청아, BPR, PI, BPI를 몰라?

BPR, PI, BPI이라는 용어들은 좀 알고 살자.

글 읽기 : Kenneth Laudon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1.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BPR은 혁신의 끝판왕이다. 여기서 핵심은 '재설계'야. 기업이 단순히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최적화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는 거다. 비용, 품질, 서비스, 속도와 같은 핵심적인 부분에서 극적인 성과를 이루기 위해 프로세스를 근본부터 다 뜯어고치는 거지. 이게 무슨 의미냐고? 회사 내에 수십 년 동안 해오던 방식, 그따위 거덜난 방법론 다 집어치우고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설계하는 거다. 왜? 혁신적 성과를 내기 위해서지.

이 BPR은 80~90년대에 본격적으로 탄생했어. 당시 기업들은 빠르게 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대대적 혁신'을 외쳤고,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들이 더 이상 기존 시스템으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지. 이때 가트너 그룹이 등장해서 ERP라는 개념도 내놓고, "야, 그냥 개선하는 걸로는 안 돼. 전면 재설계가 필요해!"라고 외친 거지. 그래서 BPR은 핵심적인 프로세스에 집중하고 부분적이 아닌 전면적 개혁을 의미해.

 

2. PI: Process Innovation (프로세스 혁신)

다음은 PI야. 이 PI는 뭐냐?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야. BPR이 '전면 재설계'라면, PI는 '정보기술을 활용해 리엔지니어링'을 의미하지. 정보기술은 기업들이 프로세스를 더욱 효율적이고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게 만들어 주지. 특히 ERP 시스템과 함께 결합되면, 이 혁신은 정말 강력해져. 예를 들어 기업들이 ERP 시스템을 통해 물류, 인사, 재무 등 모든 프로세스를 하나로 통합하고 정보 흐름을 끊김 없이 이어가게 하는 거지.

기업들이 PI를 도입하면 불필요한 절차를 걷어내고, 의사결정 시간을 줄이며, 비용을 절감하게 돼. 무슨 말이냐면 PI는 정보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과정이라는 거야. 그러니까 단순히 개선이 아니라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법이지. 이 혁신적 접근 덕분에 PI는 현대 경영에서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았지.

 

3. BPI: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업무 프로세스 개선)

마지막으로 BPI를 보자. 이건 혁명이라기보다는 점진적인 개선을 의미해. 여기서 중요한 건 '개선'이라는 단어야. ERP 구축 전에 단계적으로, 시스템의 작은 부분부터 개선해 나가는 거지. 뭐, BPR처럼 전면 개혁도 아니고, PI처럼 정보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한 접근도 아니야. 대신에 현재 있는 시스템을...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