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범처벌법? 논리공식으로 뜯어보니 한 방에 꿰뚫렸다

책상에서 조세범처벌법 조문을 논리식으로 정리하며 공부하는 학생

글 읽기 : 법제처 - 조세범 처벌법

솔직히 법 조문 보다 보면 이해가 안 될 때가 많다. 길고 복잡한 문장들 사이에서 길을 잃기 십상이다. 그래서 난 좀 다른 방식으로 법을 읽는다. 복잡한 조문을 내 나름의 '명제'로 바꿔보는 거다. '만약 A이고 B이면, C이다' 같은 식으로, 때로는 간단한 기호까지 써가면서 말이다. 이렇게 하면 뭐가 좋냐고? 첫째, 핵심이 보인다. 복잡한 수식어 다 걷어내고 '그래서 뭘 해야 하고, 뭘 하면 안 되는지', 그 뼈대가 확 드러난다. 둘째, 머리에 쏙 박힌다. 긴 문장 통째로 외우는 것보다 구조화된 공식처럼 만드니 기억하기 훨씬 수월하다.

 

제1조(목적)

P = (Q ∧ R)

P: 이 법(조세범처벌법)의 목적.

Q: 세법의 실효성 제고.

R: 국민의 건전한 납세의식 확립.

 

제2조(정의)

T ↔ (N ∧ ¬C)

T: 조세.

N: 국세.

C: 관세.

 

제3조(조세 포탈 등)

1항: (F ∧ E ∧ ¬Aggravated_Cond) → Penalty1 & (F ∧ E ∧ Aggravated_Cond) → Penalty2

F: P가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를 함.

E: P가 조세를 포탈하거나 부당하게 환급/공제 받음.

Aggravated_Cond: (A ≥ 3억원 ∧ A/S ≥ 30%) ∨ (A ≥ 5억원).

Penalty1: 2년 이하 징역 또는 A의 2배 이하 벌금.

Penalty2: 3년 이하 징역 또는 A의 3배 이하 벌금.

2항: (Penalty1 ∨ Penalty2) → Possible(Concurrent)

3항: ((Penalty1 ∨ Penalty2) ∧ Correction) → Possible(Reduction)

Correction: 법정기한 후 2년 내 수정신고 또는 6개월 내 기한 후 신고.

4항: ((Penalty1 ∨ Penalty2) ∧ Habitual) → Apply(Enhancement)

Enhancement: 형의...

Comment

여러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되길 바랍니다.

hide comments
...
Back
Cart Your cart 0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Total0
구매하기
Empty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